국민연금 받는 동안 취업·사업을 하면 어떻게 될까? 연금 수령과 보험료 납부, 그리고 일시금 vs 연금 수령 방법
국민연금을 받고 계신 분들이 취업하거나 사업을 시작할 때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 중 하나는 “국민연금 받는 동안 취업이나 사업을 하면 기존 연금이 멈추는지, 아니면 계속 받으면서 보험료도 납부하는지”입니다. 또 연금을 일시금으로 받을지, 평생 월 단위 연금으로 받을지에 대해서도 고민이 많습니다.
1. 국민연금 받는 동안 취업·사업을 하면 연금은 멈출까?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도중에도 취업하거나 사업을 시작하더라도 기존에 받던 국민연금은 계속 지급됩니다. 즉, 연금 수령이 자동으로 중단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취업이나 사업으로 발생하는 소득에 따라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 의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취업자(근로자)의 경우
회사에 다니면서 국민연금을 받고 있을 때는 보통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지만,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회사 인사팀이나 국민연금공단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업자(자영업자)의 경우
자영업을 하게 되면 지역가입자로 분류되어 국민연금 보험료를 계속 납부해야 합니다. 이 경우 납부 기간과 납부액에 따라 향후 연금액이 다시 계산될 수 있습니다.
2. 재취업 시 국민연금 수령액 변화
연금 수령 전 재취업하여 보험료를 추가로 납부하면 가입 기간과 가입 금액이 늘어나 향후 연금액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연금을 받고 있다면 일반적으로 수령액이 변하지 않습니다.
3. 국민연금 일시금과 연금, 무엇을 선택할까?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과 조건에 따라 일시금(환급금) 또는 월 단위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습니다.
① 일시금 수령
- 가입 기간이 10년 미만인 경우 주로 일시금을 선택합니다.
- 납부한 보험료와 이자를 합산해 한 번에 받는 방식입니다.
- 해외 이주나 국민연금 가입이 어려운 경우 단기 목돈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매달 받는 연금보다 수령액이 적을 수 있습니다.
② 연금 수령
- 가입 기간 10년 이상일 경우 평생 월 단위 연금 수령이 기본입니다.
- 가입 기간과 소득에 따라 수령액이 결정되며, 안정적인 노후 소득이 됩니다.
- 수령 시기 조절로 월 수령액을 늘릴 수도 있습니다.
4. 어떤 경우 일시금, 어떤 경우 연금 수령이 유리할까?
일시금 수령이 유리한 경우
- 가입 기간이 짧아 월 연금액이 매우 적은 경우
- 해외 이주 계획이 있거나 국민연금 수령을 계속하지 못할 때
- 단기간에 목돈이 필요할 때
연금 수령이 유리한 경우
- 가입 기간 10년 이상으로 월 연금액을 받을 수 있을 때
- 장기간 안정적인 소득이 필요한 노후 준비
- 수령 시기 조절을 통해 수령액을 최적화하고 싶을 때
마무리하며
국민연금을 받는 중에 취업하거나 자영업을 시작해도 연금 수령은 중단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연금액이 재산정되어 더 늘어날 수 있죠.
다만, 보험료 납부 의무 여부는 고용 형태나 사업자 등록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꼭 확인이 필요합니다. 또한 일시금과 연금 수령 중 어떤 방식을 선택할지는 가입 기간, 재정 상황, 노후 계획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권장합니다.
만약 국민연금 수령 시기를 조정하고 싶거나, 조기 수령·연기 수령 시 감액률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도 함께 참고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