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등 통증 원인과 검사 — 윗등·중앙·아랫등·옆구리 통증 증상별 진단 가이드

by insight2537 2025. 8. 12.
반응형

등 통증 부위별 원인과 진단 가이드 — 검사·감별포인트

요약: 등 통증은 부위(윗등, 등 중앙, 아랫등, 옆구리)와 통증의 양상(파도처럼, 찢어지는 듯, 자세 의존성), 동반 증상(발열, 호흡곤란, 혈뇨)에 따라 근골격계 질환인지 내부 장기(심장·폐·췌장·신장) 문제인지 구분해야 합니다. 본문은 전문의가 임상에서 실제로 활용하는 감별·검사 포인트와 응급 시 신속대응 체크리스트를 제공합니다.

1. 윗등 통증 (견갑골 부근)

윈 등 통증은 주로 승모근·능형근의 근막성 통증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상에서 "윗등 통증 원인"으로 환자가 호소할 때 다음 항목을 확인합니다.

핵심 임상 포인트

  • 통증 양상: 지속적 뻐근함, 활동(컴퓨터 작업, 머리 돌리기)으로 악화
  • 유발 인자: 장시간 거북목 자세, 무거운 가방, 수면자세
  • 경계해야 할 증상: 왼쪽으로 방사되는 통증, 식은땀, 호흡곤란 → 심혈관계(협심증/심근경색) 의심

임상적 감별

근골격계 소견(국소 압통, 근육 긴장, ROM 제한)이 뚜렷하면 근막통·근육염을 우선하지만, 발현이 휴식 중에도 지속되고 전형적 흉통 증상이 없더라도 왼쪽 상부 흉부 방사통이 있으면 즉시 심전도·심근효소 검사를 권장합니다.

2. 등 중앙 통증 (흉추 부위)

등 중앙 통증은 흉추 디스크, 늑간신경통, 척추측만증과 같은 척추 구조 문제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소화기계(특히 췌장) 및 혈관계(대동맥 박리)의 방사통 가능성도 배제하면 안 됩니다.

임상적 특징

  • 자세·호흡 의존성: 심호흡, 기침, 체간 회전에 의해 악화되면 흉추/늑간 신경원성 통증을 의심.
  • 식사 후 악화: 상복부에서 시작해 등 중앙으로 방사되는 통증은 급성 췌장염 가능성.
  • 발현 양상: 갑작스러운 찢어지는 통증 → 대동맥 박리(응급)

검사 권장

흉추 병변이 의심되면 단순 흉부 X-ray 및 흉부 CT(필요 시 MRI)를 고려합니다. 대동맥 질환이 의심될 경우 CTA(CT angiography)가 필수입니다. 췌장염 의심 시 복부 CT 및 혈청 아밀라아제·리파아제 검사를 시행합니다.

3. 아랫등 통증 (허리 위~늑골 하단)

요추와 흉요추 접합부의 통증은 요추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이 주원인입니다. 동시에 신장 질환, 부인과 질환 등이 연관통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임상적 체크리스트

  • 운동·자세 관련 증상(앉거나 일어설 때 악화) → 요추 디스크·근성 통증 우선
  • 발열·오한·요통 압통 → 신우신염 가능성
  • 급성 발작적 옆구리 통증 + 혈뇨 → 신장결석 의심
  • 여성의 경우: 생리·배란주기·골반통과 관련 → 산부인과 질환 고려

검사 권장

신장 관련 증상 동반 시 요검사(혈뇨, 농뇨), 혈액검사(CBC, CRP, 신기능 검사), 복부 비조영 CT(결석 의심) 또는 초음파(신우신염·수신증 평가)를 시행합니다. 요추 병변은 요추 MRI가 진단에 결정적입니다.

4. 옆구리·등 옆 통증

옆구리 통증은 신장·간·담낭·췌장 질환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대상포진 초기처럼 피부 병변 이전에 통증만 나타나는 질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주요 임상 포인트

  • 간헐적 극심 통증(파도같음) → 신장결석 의심, 구토/빈뇨/혈뇨 확인
  • 음식(기름진 음식)과 관련된 우상복부/오른쪽 옆구리 통증 → 담석·담낭염 연관
  • 국소적 작열감 후 수포성 발진 발생 → 대상포진 확진

검사 권장

신장결석 의심 시 비조영 복부 CT, 요검사 및 혈중 전해질·신기능을 검사합니다. 담낭·간 관련 의심 시 복부 초음파와 간기능 검사(LFT)를 우선 시행합니다. 대상포진 의심 시 임상적 진단 후 항바이러스제(바이러스성 수포 출현 전에도 시작 가능)를 고려하십시오.

권장 검사 및 응급 체크리스트

필수 병력/신체검진 항목

  1. 통증의 정확한 위치(한쪽/양쪽, 방사 여부), 시작 시점·발생 상황(외상/노출/음식 등)
  2. 통증 양상(파도형/지속형/찢어지는 통증), 악화·호전 요인
  3. 동반 증상: 발열, 구토, 호흡곤란, 실신·어지럼, 혈뇨, 피부 발진

기본 검査 패널(상황별)

  • 영상: 단순 X-ray → CT(비조영/조영) → MRI(신경학적 의심 시)
  • 혈액: CBC, CRP, 전해질, 신기능(크레아티닌), 간기능, 심근효소(심장 의심 시), 아밀라아제/리파아제(췌장 의심 시)
  • 소변: 요검사(혈뇨, 농뇨), 요배양(감염 의심 시)

즉시 응급조치가 필요한 상황

  • 갑작스러운 극심한 '찢어지는' 등 통증 + 혈압 불안정 → 대동맥 박리 의심(즉시 CTA 및 심혈관외과 연락)
  • 왼쪽 흉부·윗등 방사통 + 흉통·호흡곤란·식은땀 → 심근경색 의심(즉시 심전도·심근효소, 응급실)
  • 발열·옆구리 압통 + 전신 증상 → 신우신염(입원 및 항생제 고려)

의견: 환자에게는 통증 일지(시작시간, 유발 요인, 수면·약물 반응)를 작성하게 하고, 진료 시 제공하도록 합니다. 이는 감별진단의 정확도를 크게 높입니다.

 

등통증
등 통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