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미국 ETF에 투자할 때 세금을 가장 적게 내는 방법 (ISA, 연금저축계좌 완전정리)
미국 주식이나 ETF에 투자하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세금 문제도 점점 더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거주자가 미국 ETF에 투자할 때 어떤 계좌를 활용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을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죠.
이 글에서는 미국 ETF 투자 시 어떤 세금이 부과되는지, 그리고 ISA, 연금저축계좌, 일반 계좌의 세금 혜택을 비교해서 가장 유리한 전략을 정리해드릴게요.
✅ 미국 ETF 투자 시 부과되는 세금
- 배당소득세 (미국 원천징수세 15%)
미국은 외국인 투자자에게 배당소득의 15%를 원천징수합니다. 예를 들어, 배당금이 100달러면 15달러는 미국에서 떼고 나머지 85달러를 수령합니다. - 양도소득세 (한국 기준 22%)
해외 ETF 매매로 얻은 수익이 연간 250만 원을 초과하면, 초과분에 대해 22% 세금(지방세 포함)을 내야 합니다.
✅ 세금을 줄일 수 있는 계좌별 전략
1. 연금저축계좌 (연금저축펀드)
- 연간 최대 400~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 가능
- 계좌 내 매매수익은 과세이연
- 연금 수령 시점에 연금소득세(3.3~5.5%) 납부
- 미국 ETF 직접 투자는 불가능하지만, 미국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를 활용해 간접 투자 가능
2. IRP 계좌 (개인형 퇴직연금)
- 연금저축과 구조는 유사하며, 세액공제와 과세이연 가능
- 역시 국내 상장 ETF만 투자 가능
3. ISA 계좌 – 2023년부터 세법 변경
ISA 계좌는 기존에는 과세이연과 비과세 혜택이 있었지만, 2023년 세법 개정으로 인해 미국 ETF 투자 시 세금 혜택이 사실상 사라졌습니다.
항목 | 기존 (2022년까지) | 변경 (2023년부터) |
---|---|---|
해외 ETF 수익 | 과세이연 + 분리과세(15.4%) | 비과세 불가, 과세 적용 |
국내 ETF 수익 | 일부 비과세 | 계속 비과세 유지 |
계좌 구조 | 구 ISA 체계 | 신 ISA로 자동 전환 |
즉, 이제 ISA에서 해외 ETF를 투자해도 일반 계좌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 미국 ETF 투자, 어떤 계좌가 유리할까?
계좌 유형 | 세금 혜택 | 미국 ETF 직접 투자 가능 | 비고 |
---|---|---|---|
일반 계좌 | 없음 | 가능 | 배당소득세 15% + 양도소득세 22% |
연금저축/IRP | 세액공제 + 과세이연 | 불가능 | 국내 ETF로 우회 투자 |
ISA 계좌 | 해외 ETF 수익에는 혜택 없음 | 가능 | 국내 ETF 수익만 비과세 |
✅ 결론: 이런 전략이 유리합니다
- 직접 미국 ETF에 투자하고 싶다면
일반 계좌에서 매수 후, 연 250만 원까지 비과세 공제 활용 - 세금 절약이 우선이라면
연금저축 또는 IRP 계좌에서 국내 상장 ETF를 통해 간접 투자
해외 ETF 세금은 해마다 바뀔 수 있으니 꾸준한 정보 확인이 필요해요.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감 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