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액패스 기존혜택과 직접 비교 해 보았습니다.

by insight2537 2025. 9. 11.
반응형

정액패스 대중교통
정액패스 , K패스

 

매년 오르는 물가. 교통비도 예외는 아닙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더 많은 사람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하기위해 내년부터 새로운 제도가 출시됩니다.

바로 정액패스 라는 건데요.

기존 제도와 비교해 보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 · K-Pass · 정액패스 비교: 어떤 게 내게 유리할까?

알뜰교통카드, K-Pass(케이패스), 정액패스의 대상·방식·혜택을 한눈에 비교해드립니다. 본문 아래 HTML 코드 복사 버튼을 눌러 티스토리 본문에 그대로 붙여넣어 사용하세요.

비교표

구분 알뜰교통카드 K-Pass (케이패스) 정액패스 (정기권)
대상 전국민 (만 19세 이상) 청년(19~34세), 중고생, 어르신(65세 이상) 등 누구나 가능
방식 걷기·자전거 연동 마일리지 적립 → 교통비 할인 월 교통비 일정 비율(캐시백) 환급 한 달 정액 요금으로 기간 내 무제한/횟수 이용
혜택 규모 최대 약 30% 절감 (요금 20% + 마일리지 최대 10%) 월 최대 환급(예: 55,000원 등 정책에 따름) 많이 탈수록 비용절감 효과 큼
특징 건강(걷기)과 절약을 동시에 특정 계층 대상, 자동 정산 출퇴근·통학 등 정기적 이용자에게 유리
추천 사용자 걷기/자전거 병행 가능자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학생·청년·어르신 매일 출퇴근으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

※ 각 제도의 상세 조건과 금액은 정책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신청 전 해당 서비스 공식 안내를 확인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Q. 두 가지 이상 혜택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 제도별로 중복 적용 여부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정액패스와 일부 캐시백 제도는 중복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제도 확정시 각각의 약관을 확인하세요.

🔹 알뜰교통카드

대상 전국민 (만 19세 이상 누구나 신청 가능)
방식 대중교통(버스, 지하철)을 이용하기 전후에 걷기·자전거·PM(킥보드 등) 이동거리를 앱으로 측정해 마일리지 지급
        출퇴근 시 더 많이 적립 가능
혜택 이용 거리에 따라 최대 30% 수준 교통비 절감 (교통비 20% + 마일리지 최대 10%)
특징 실질적으로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해야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음

🔹 K-Pass (케이패스)

대상 청년(19~34세), 중고생, 어르신(65세 이상) 등 특정 계층 중심
방식  대중교통(버스·지하철)을 일정 기간 많이 이용하면, 월 교통비의 20~30% 캐시백
         이용 건수와 상관없이 자동 정산
혜택 교통비가 일정액 이상 나오면 월 최대 55,000원까지 환급 가능
특징 걸은 거리와 관계없이,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할수록 혜택이 커짐

🔹 정액패스 (교통 정액권, 정기권)

대상- 누구나 구매 가능 (연령 제한 없음)
방식-한 달 단위 요금(정액)을 내면, 정해진 기간 동안 무제한 혹은 횟수 제한 없이 교통 이용 가능
-대표적으로 지하철 정기권(60회, 30일 사용) 있음
-지역별로 “광역버스 정기권”, “정액형 교통카드” 등도 있음
혜택-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출퇴근족에게 유리
-거리별로 계산되는 일반 요금보다 예상 가능하고 저렴
특징-월 정액제처럼 많이 탈수록 이득 구조
서울 지하철 1호선 대중교통 장난감, 01_서울지하철1호선(레드), 1개

 

알뜰교통카드 · K-Pass · 정액패스 비교: 어떤 게 내게 유리할까?

가정 조건: 서울 시내버스 1회요금:1550원

이용패턴: 왕복 출퇴근(1일 2회)

근무일: 월22일

*한달 교통비 기본값 = 1,550원×2×22 = 68,200원 일때,

 

<알뜰 교통카드>-요금할인:약20%

;추가 마일리지:최대 10%(출퇴근시 더 많이 적립)

;실제 절감 가능 금액:68,200원×최대30%=20,460원 절감

;예상 부담액=47,740원

 

<K패스>-청년/학생/어르신 등 해당 계층만 가능

;월 교통비의 20~30% 캐시백

;68,200원×20%=13,640원 환급 (30%는 20,460원 환급)

최종 부답액:47,740원~54,560원

 

 <정액패스>(지하철 정기권 예시)-서울 지하철 정기권:55,000원(60회,30일)

하지만 '버스 단독 정액권'은 현재 서울에는 없음(버스만 타는 경우 적용 불가)

다만, 지하철+버스 환승 출퇴근이라면 정액원 고려할 수 있음.

 

버스만 출퇴근 하는 경우:알뜰 카드와 K패스모두 혜택은 비슷(최대30%수준)

둘 다 쓸 수 있따면 K패스가 간편 (걸을 필요 없음),알뜰교통 카드는 건강과 병행 가능.

(다만 앱 연동오류로 답답할 수 있습니다.)

지하철+버스 환승 출퇴근 이라면 정액패스(정기권)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기존 K패스랑 정액패스 둘 중 하나만 사용 가능하게 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아직 확실한건 아니니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